오늘은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서 시가 총액 1위인 삼성전자 주가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전체적인 흐름을 보면서 지금 진입은 왜 기다려야 하는지 이유를 찾아보겠습니다.
1. 주식은 뉴스를 보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제저녁 9시 21분 기준으로 다음 증권 카테고리의 조회급등 종목을 확인해 봤습니다.
카카오에 이어서 삼성전자 주가가 2위에 올라와 있었습니다.
그만큼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많은 종목 중 하나가 삼성전자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작년 말까지 흐름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10월부터 반등하기 시작하더니 12월에는 다시 흘러내려왔습니다.
차트에서 아쉬운 것은 주가가 파란색으로 표시한 60일선을 이탈해 있는 것입니다.
저는 차트에서 60일선 방향으로 추세를 확인하라고 강조합니다.
지금 상태에서 빠르게 60일선 위로 올라가지 않으면 결국 1주일 정도 있으면 우하향으로 바뀌면서 하락 추세를 알려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주가 흐름을 뉴스에서 어떻게 설명하는지 다음 뉴스로 검색해 봤습니다.
삼성전자 주가를 이제는 살 때라는 것과 썩어도 준치라는 기사 제목이 눈에 보입니다.
기사들의 내용을 보면 지금 현황을 이야기하지 앞으로의 흐름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습니다.
뉴스를 보고 투자를 하면 결국 엇박자가 나게 됩니다.
본인이 사면 떨어지고, 팔면 올라가는 아이러니한 현상이 반복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뉴스는 배제하거나 참고만 하고, 가장 중요한 본인의 투자 원칙을 만들어가야 합니다.
2. 삼성전자 주가는 장기적으로 상승 추세선이 이탈되어 있습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단기 트레이딩을 선호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가지고 가는 분들을 위해서 상승 추세선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우선 약 10년 동안의 흐름을 보겠습니다.
2015년 2만원에서 2021년 96,000원 부근까지 우상향으로 올라왔습니다.
지금은 고점에서 40% 정도 하락한 상태입니다.
2015년부터 상승할 때의 저점들을 이어 보면 상승 추세선이라는 것이 형성됩니다.
주가가 움직이면서 그 라인에 내려오면 지지의 역할을 하고, 이탈하고 반등할 때는 저항이 됩니다.
지금은 딱 변곡점 수준으로 보입니다.
차트를 확대해 보겠습니다.
지금 엄밀하게 보면 상승 추세선이 이탈되어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번주에 다시 라인 위로 올라오면 괜찮습니다.
하지만 저점부근으로 다시 내려오기 시작하면 상승 추세선과의 갭이 벌어지면서 향후에 저항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가치 투자를 하시분 들은 그 흐름을 저러한 것으로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3. 삼성전자 주가가 빠르게 움직이려면 지금 올라와줘야 합니다.
저는 차트를 보고 흐름을 파악하고, 포인트를 잡습니다.
가장 먼저 60일선 방향을 확인합니다.
2022년 차트를 먼저 보겠습니다.
파란색 라인을 보면 계속 우하향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년 내내 하락 추세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 기준으로는 삼성전자를 진입할 지점이 2022년에는 없었습니다.
그러면 지금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작년 차트를 다시 보겠습니다.
일단 주가가 이평선 위로 올라와야 합니다.
그리고 연두색 20일선 방향이 현재는 우하향하고 있지만, 우상향 하는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주가가 이평선 위에서 붙어서 양봉이 날 때 진입하면 됩니다.
일단 이번주는 주가가 추가 하락이 나오는지 이평선 쪽으로 반등이 나오는지를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뉴스에서 흔히 이야기하는 금리, 환율, 반도체 금액 등 이런 것들은 그냥 잊으시죠.
그런 것은 전문가 흉내를 내면서 개인투자자들을 현혹하는 사람들의 말장난 도구로 사용하게 내버려 두세요.
우리는 기준만 가지고 투자하면 됩니다.
오늘은 삼성전자 주가 차트를 보면서 흐름과 진입 시점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국내주식 파악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하이닉스 주가 진입까지는 조금 더 기다려야 합니다. (0) | 2023.01.04 |
---|---|
하이드로리튬 주가 장기투자용 아닙니다. (0) | 2023.01.03 |
카카오 주가는 상승 추세부터 확인하세요. (2) | 2023.01.01 |
셀트리온 주가는 상승 추세를 확인해야 합니다 (0) | 2022.12.31 |
엘지에너지솔루션 주가 지금은 지켜만 볼 때 (0) | 2022.12.29 |
댓글